사이트 내 전체검색

충청남도한의사회
한의사회 소식
항상 노력하는 자세로 한의사회의 규범이 되겠습니다
한의학 이슈 원인불명 난임 환자의 보조생식술 시술 전 한의치료 우선 받도록 해야

페이지 정보

본문

한의난임치료, 종합적인 심신건강증진 시키고 다태아 임신 가능성 없어

예방적, 한·양방 병행치료, 종합 건강증진 주체로서 접근 가능

표준화된 가이드라인 구축해 대규모 관찰 근거 만들어 건보적용 대비 필요

한·양방 치료 장·단점 보완해 국가적 위기상황 극복에 기여

제4차 한의약보건정책포럼

 

eee412d179d526662c2a066700cc6e0f_1498794141_0669.jpg
 

 

[한의신문=김대영 기자] 정부가 저출산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방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임신율이 보조생식술과 비슷하면서 비용은 오히려 저렴한 한의난임치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난 28일 컨싱턴호텔 그랜드 스테이션홀에서 ‘저출산 사회에서 한의계의 역할 강화 방안 모색’을 주제로 열린 제4차 한의약보건정책포럼에서는 △우리나라의 저출산문제 극복을 위한 정책방향(홍승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실장) △저출산문제 해결을 위한 한의약의 현주소와 미래(김동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지자체의 ‘난임진료 지원사업’의 발전을 위한 제언(조준영 꽃마을 한방병원 원장)에 대한 발표에 이어 전선우 대한한의사협회 법제이사, 김규철 내일신문 기자, 김유진 한약진흥재단 정책기획팀장의 토론이 이어졌다.

 

이날 김동일 교수에 따르면 난임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4년 기준 21만명이 난임진단을 받았으며 그 원인으로 만혼 및 임신 지연으로 인한 생식능력 감소, 잦은 유산, 장기간의 피임방법 사용 증가, 스트레스 증가, 비만 및 운동부족, 환경오염 증가 등이 꼽힌다.

 

양의학적 난임치료인 클로미펜 배란유도는 저비용에 높은 배란율이 장점이지만 난자 질 및 항에스트로겐 효과로 경관 점액의 질이 저하되며 인공수정 수반 가능성이 높다.

인공수정은 상대적으로 저비용이지만 10% 전후의 상대적으로 낮은 임신율을 보인다.

체외수정 및 기타 보조생식술은 배란요인, 난관요인, 일부 남성요인 등을 극복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임신율을 보이지만 강한 심신 스트레스와 고비용, 상대적으로 높은 유산율, 다태아 출산 및 주산기 의료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한의 난임치료는 심신건강증진의 자연적 난임치료로 부가적 다태아 임신 가능성이 없으며 경관점액, 자궁내막 안정성을 제고시킨다.

단점이 있다면 배우자 요인의 극복에 어려움이 있고 상대적으로 긴 1주기 치료기간을 들 수 있다.

 

정부의 보조생식술에 대한 지원으로 최근 한의의료기관을 찾는 난임환자의 고령화와 보조생식술 누적 시술 증가 경향이 뚜렷한 상황이다.

 

이에 김 교수는 난임의 요인이 되는 질환을 가졌으나 아직 불임의 원인이 안 된 여성의 임신 시도 전 치료와 근원적인 생식건강 증진을 위해 잠재적 난임 원인 질환 보유자와 생식기능 저하가 현저해지는 35세 이상 연령의 여성을 대상으로 예방한의학적 접근이 가능하다고 제언했다.

 

또 한의 및 양의의 상호 우수한 점을 활용해 원인불명 난임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한의 난임치료를 받도록 하고 양방치료 적용 환자에게는 임신율 제고와 유산 방지를 위한 한의치료를 병행하는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와함께 유산 및 난임 시술 실패 후 조리를 통한 심신회복과 증가하는 남성 원인에 대한 한의치료 적용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환자에 대한 개별적 심화와 보편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결혼의 고령화로 인한 유산후 관리, 반복유산 방지, 난자 질 개선, 착상 환경 개선에 대한 세밀한 근거를 축적해 국가 주도의 시범사업과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준영 원장은 지자체에서 실시된 한의난임사업 보고서 분석 결과를 소개했다.

조 원장에 따르면 지자체 난임사업에 참여한 여성 578명 중 245명(42.4%)이 인공수정에, 153명(26.5%)이 시험관아기시술에 실패한 경험을 갖고 있었다.

8개 지자체 사업에서 한의약 치료 전후 간기능 검사를 시행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익산시의 두 개 보고서(2014, 2016년)에서는 한의약 치료 후 간기능 수치가 약간 상승했다고 보고했으나 정상 범위였다.

 

한의난임치료의 임신결과는 생아 출생율이 23.3%, 임상적 임신율은 23.4%로 집계돼 보조생식술(2012년 우리나라 양방난임지원사업 결과 인공수정 10.8%, 시험관아기시술 32.2%)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용에 있어서는 한의치료가 훨씬 저렴했다.

 

조 원장은 △표준적인 가이드라인 구축을 통해 대규모 관찰 근거 마련 △난임 진료 기관의 정도 관리 △보고서 작성 가이드라인 마련 정부와의 협조를 통해 한의 난임치료 사업의 최종결과와 안전성 확보 및 코호트 구축을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전선우 이사는 “한의협은 한의학 난임치료에 대한 우수성을 홍보하고 국가사업으로 들어갈 수 있는 정책적인 준비와 법령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외에도 표준화 작업과 함께 지부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 개발안을 올해 안에 완료할 예정으로 내년부터 지자체에서 진행될 한의난임치료는 통일된 안을 가지고 진행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충청남도한의사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영성로 62, 3층 | 607-82-86917
T.041-563-0343 | F.0504-926-0022 | E. chakom@naver.com
Copyright © www.chakom.org All rights reserved.